2025년 정부는 ‘민생회복 소비쿠폰’을 통해 국민의 소비를 촉진하고 지역경제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 특히 카카오페이를 통해 신청하면 간편성을 넘어 경품·쿠폰·포인트까지 받을 수 있어 매우 유리합니다.
민생회복 소비쿠폰이란?
전 국민 대상 소비지원 정책
행정안전부가 추진하는 이 정책은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며, 소득 수준에 따라 1차 기본 금액(15~40만 원)이 차등 지급됩니다. 비수도권 주민은 3만 원,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주민은 5만 원이 추가 지원됩니다. 2차로는 국민의 약 90%에게 1인당 10만 원 추가 지급되며, 최대 누적 금액은 55만 원에 달합니다.
신청 및 사용 일정
신청 기간
- 1차: 2025년 7월 21일(월) 오전 9시 ~ 9월 12일(금) 오후 6시
- 2차: 2025년 9월 22일(월) ~ 10월 31일(금)
사용 마감
- 1차·2차 모두 2025년 11월 30일(일)까지 사용 가능
첫 주(7.21~25)는 출생 연도 끝자리 기준 요일제로 신청이 운영되며, 온라인은 주말에도 가능하나 오프라인은 제외됩니다.
카카오페이 신청 시 누리는 3대 혜택
1. 앱 설치 불필요한 간편 신청
카카오톡 검색창에 ‘민생회복 소비쿠폰’을 입력하면 카카오페이공간에서 ‘페이머니로 신청’ 화면에 바로 진입할 수 있으며, 추가 앱 설치가 필요 없습니다.
2. 완전 모바일 바우처 결제
‘페이머니로 신청’ 시 쿠폰은 바우처 형태로 지급되고, 카카오페이머니처럼 사용 가능합니다. 제로페이·삼성페이 연동으로 Android·iOS 기기 모두에서 오프라인 결제 가능하며, 잔액과 결제 기록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3. 경품·쿠폰·포인트 3중 혜택
- 경품 이벤트 자동 응모: 최대 200만 원 포인트(10명), 50만 원(30명), 20만 원(60명) 총 100명
- 신청 시 즉시 랜덤 할인쿠폰 3장(300~3,000원), 첫 결제 시 웰컴 쿠폰팩 지급
- 소비쿠폰 사용 횟수당 포인트 뽑기 응모권 지급, 3회당 보너스 추첨 및 월 최대 3만 원 적립
위 혜택은 모두 카카오페이 페이머니 신청자만 받을 수 있습니다.
신청 방식 및 사용처 안내
신청 방법
- 온라인: 카드사·상품권 앱, 해당 홈페이지, 콜센터, ARS
- 오프라인: 은행, 주민센터 또는 지자체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
사용처 조건
-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및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신용·체크·선불카드 가맹점
- 사용 불가 업종: 대형마트, 백화점, 면세점, 대형 전자제품 판매점, 유흥·사행업소 등
- 배달앱은 원칙적으로 제외되지만, 매장에서 직접 결제하면 사용 가능
잔액 환불이 불가하며, 기한이 지나면 자동 소멸합니다. 이사 후 주소지 변경은 카드형으로만 가능합니다.
신청 전 필수 확인 사항
국민비서 알림 서비스 활용
7월 19일부터 국민비서(카카오톡 등)를 통해 대상 여부와 신청 일정, 예상 금액 등의 안내를 받을 수 있어 신청 준비에 유용합니다.
요일제 및 예산 소진 주의
첫 주에는 요일제를 확인해야 하며, 예산은 선착순으로 소진되므로 조기 신청이 권장됩니다.
대리 신청 시 수수료 면제
가족이 대리 신청할 경우 7월 21일~10월 31일에는 주민등록표 등·초본 발급 수수료가 면제됩니다.
핵심 요약
- 기본 지급: 일반 15만 원, 차상위·한부모 30만 원, 기초수급자 40만 원
- 추가: 비수도권 3만 원, 농촌 5만 원, 2차 추가 10만 원 → 최대 55만 원
- 사용 마감: 2025년 11월 30일까지, 연 매출 30억 이하 매장 중심
- 카카오페이 신청 시: 앱 설치 없이 신청, 모바일 바우처 결제, 경품·쿠폰·포인트 등 3중 혜택
- 신청 전: 요일제·예산·알림 서비스 확인 필요
‘민생회복 소비쿠폰’은 소비자와 소상공인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정책입니다. 특히 카카오페이를 통해 신청하면 손쉬운 결제와 더불어 풍부한 혜택을 누릴 수 있어 가장 효과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. 스마트폰으로 ‘민생회복 소비쿠폰’을 검색한 후 ‘페이머니로 신청’ 버튼만 눌러도 참여가 완료되니 지금 바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